Page 88 - My FlipBook
P. 88

장애인도 결국 깐부잖아!

                    2년간의 근로장학생 활동은 내가 타율적인 대학생활을 벗어나,

                  왜 사회복지학을 공부하는지에 대해 스스로 깨닫는 전환점이 되었
                  다. 장애인들도 일부 신체적 불편함이 있을 뿐 우리와 똑같이 소통

                  하고 생활하는 사람이라는 당연한 이치를 직접 경험하며 배운 계
                  기였다. 내가 맡은 일은 뇌병변 장애가 있는 학생과 동행하며 이동

                  보조, 수업 필기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장애 학생을 돕는 일은 쉽지 않았다. 주의의 불편한 시선을 한

                  몸에 받은 적도 있었고 한여름에 낑낑대며 휠체어를 옮기기도 했
                  다. 그래도 대학생활을 함께하며 밥도 같이 먹는 동안 애정이 쌓여

                  갔다. 어느 새 친해져 언니라고 부르기 시작했고, 그러다 보니 장
                  애인들이 생활 중 불편함을 느낄 만한 부분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

                  했다. 예를 들어 휠체어 이동통로가 없는 건물이나 계단 사이의 턱
                  이 높다거나 하는 문제점이 도처에 있었다. 대학본부에 문의했으
           청춘도 방황도 두렵지 않아
                  나 하루아침에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었다. 그러던 중 내 마
                  음속에서 무언가 굳은 의지가 생기는 경험을 했다. 언니와 하굣길

                  에도 동행하고 했는데, 수업이 늦게 끝날 때는 퇴근시간대와 겹치
                  는 경우도 있었다. 승객이 많았던 저상버스에 언니를 태우는 과정

                  에서 버스 기사님이 우리에게 사람 많은 시간에 왜 돌아다니느냐
                  고 다그치는 말씀을 하셨고, 나는 큰 충격을 받았다. 순간 정적이

                  흘렀고 누군가 드라마처럼 정의감에 불타올라 박차고 나가 기사
                  님께 면박을 주는 장면은 없었다. 이를 계기로 나는 장애인에 대한






                                                  꿈꾸는 청춘들의 성장 에세이 길을 찾다 87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