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9 - My FlipBook
P. 39

이에 “엄마가 저 힘들게 키우는 거 보면서 자랐는데 어떻게 아이
            를 낳아요.” 라는 멘티의 대답은 제게 적잖은 충격으로 다가왔습

            니다. 이는 교내 동아리 활동으로 이어졌는데, 비혼주의자에 대한
            캠페인을 기획한 후 결혼관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게 되었습니

            다. 그 결과 많은 학우가 비혼을 추구했고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그
            이유로 꼽았습니다. 앞선 활동을 통해 저출산의 가장 큰 원인이라

            고 할 수 있는 비혼이 ‘비혼주의’ 라는 트렌드로 점차 확산되고 있
            는 현실을 제 두 눈으로 마주하게 되었습니다.


              나아가 차세대 리더육성 멘토링 활동은 저에게 더 큰 깨달음을
            안겨주었습니다. 보건전문가 멘토님과의 토의를 통해 저출산이 단

            순한 인구 감소만의 문제가 아닌 생존 전반에 총체적으로 침투해
            악영향을 야기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기 때문입니다. 이런 일련의

            활동들을 통해 한가지의 인구학적 요인이 우리 사회 전반에 얼마
            나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지에 대해 깨닫게 됐고 이는 보건인구학

            수학에 대한 열망에 불을 지피는 또 하나의 계기가 됐습니다.

              [꿈을 향해 나아가는 계획된 인재]


              궁극적으로 제 목표는 인구 문제를 개선해나가는 ‘보건 인구학
            자’ 가 되는 것입니다. 가장 먼저, 무슨 일을 하든 가장 중요한 것

            은 기틀을 잘 세우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앞으로 보건
            학을 공부함에 있어 그 기반에 대한 이해를 더욱 확고히 하고자 합

            니다. 또한 세부 분야를 가리지 않는 전 방위적 학습을 통해 여러
            관점에서 보건학적 문제에 접근할 계획입니다. 이에 더해 다학제






            38 전남인재평생교육진흥원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