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0 - My FlipBook
P. 40
적 접근을 통해 보건 사회의 흐름을 해석할 것입니다. 보건대학원
진학을 통해 보건학을 사회학, 경제학, 법학. 정치학, 의학 등 다
양한 학문적 관점에서 이해함으로써 학문적 소양 함양과 보건학적
문제에 대한 과학적 해결 능력 습득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
고자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보건 문제에 대응하는 정책들
에 대한 다각적 이해를 할 것입니다. 또한 올바른 정책을 수립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현재 사회에서 적용되고 있는 보건
정책 제도들에 대한 해석능력이 중요하기에 보건정책학에 대해서
는 더욱더 노력을 기울일 계획입니다. 특히 보건학 전공 중에 배웠
던 공중보건학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정책 분석 및 평가’ 과목을
중점적으로 공부할 계획입니다. 나아가 글로벌 사회의 일원으로서
인류의 건강증진이라는 큰 목적달성을 위해 국제보건 연구까지도
놓치지 않겠습니다. 또한 미래의 글로벌 전문 인력으로 성장하기
위해 국내외를 가리지 않는 여러 사례를 수학해나가면서 제 꿈에
인구학자의 꿈을 꾸다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을 아끼지 않을 계획입니다.
[현대 건강사회의 해답, 모바일 헬스케어]
인류의 기대수명도 그에 따라 늘어나고 있습니다. 때문에, 앞으
로 우리의 삶에서 보건은 ‘늘어난 삶의 시간 속에서 어떻게 건강한
삶을 영위할 것인가’ 라는 질문에 대한 해답을 명확히 제시해줄 수
있어야 합니다. 저는 모바일 헬스케어가 그 질문에 대한 하나의 효
과적 대답이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이미 우리 삶의 가
장 가까운 곳에 자리 잡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하는 모바일 헬스케
꿈꾸는 청춘들의 성장 에세이 길을 찾다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