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1 - My FlipBook
P. 41

어는 접근성에서 굉장한 이점을 가지며 개개인의 건강정보(영양,
            신체 활동 등)에 따른 맞춤 건강관리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만 있다면 우리나라의 여러 보건인구적 문제 개선과 현대인의
            건강관리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모바일 헬스케어 기술을 비롯한 보건복지 솔루션을 완벽
            하게 구축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하며, 인구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논리적으로 제시하기 위해서는 보건인구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
            로 이에 대한 고찰과 더불어 보건인구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

            시할 수 있는 연구자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현재 보건인구학에 대
            한 연구가 과거에 비해서 활발해졌다고는 하나 여전히 연구자가

            턱없이 부족한 실정입니다. 때문에 저는 보건인구학 연구자가 되
            기 위해 졸업 후 보건대학원에 진학하여 보건인구학에 대해 더욱

            깊이 있는 공부를 하고 싶습니다. 그 후에는 풍부한 보건학적 지식
            과 경험을 바탕으로 국민을 설득하고 보건 문제들을 해결하며 국

            민건강과 삶의 질 개선에 이바지하는 공신력 있는 보건인구학 전
            문가가 되고 싶습니다. 안타깝게도 아직까진 보건인구학에 관한

            별개의 학과는 존재하지 않지만, 보건학이라는 큰 틀 아래에서 보
            건 문제 해결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갖고 노력을 더해 나가다 보면

            보건의 궁극적 목적인 국민의 삶 제고에 이바지할 수 있으리라 확
            신합니다.


              끝으로 요즘 저의 가장 큰 관심사는 ‘담배 연기 없는 대한민국’
            을 만드는 것입니다. 보건학을 전공한 만큼 평소에 흡연으로 인해







            40 전남인재평생교육진흥원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